맞벌이 가정과 돌봄 공백 가정을 위한 육아 지원 정책 완전 정리
아이돌봄 서비스란?
아이돌봄 서비스는 부모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인증한 돌보미가 가정에 방문하여 아동을 돌보는 정부 지원형 육아 서비스입니다. 2025년에도 지원금 단가 인상, 대상 확대, 이용 편의성 개선 등의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2025년 주요 변경사항
- 소득 기준 완화: 중위소득 150% → 180% 이하까지 지원
- 정부 지원 비율 확대: 최대 85%까지 지원 (기존 80%)
- 아이돌봄 모바일 앱 개편: 실시간 예약 및 연장 신청 가능
- 24개월 미만 영아 우선지원: 시간당 요금 인하 적용
이용 대상
- 돌봄 대상 아동: 만 12세 이하 아동
- 우선 지원 가정: 맞벌이, 한부모, 장애아 양육 가정, 다자녀 가구 등
- 정부 지원 가능 가구: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소득 초과 가구도 전액 본인부담으로 서비스 이용 가능
서비스 유형 및 내용
서비스 유형 | 돌봄 내용 | 이용 시간 | 비고 |
---|---|---|---|
시간제 돌봄 | 등·하원 동행, 놀이, 간식 제공 등 | 1회 2시간 이상 이용 | 가장 일반적인 서비스 |
영아종일제 | 24개월 미만 영아 전담 돌봄 | 1일 6~8시간 | 전일제 육아 대체 가능 |
질병아동 돌봄 | 경증 질병·회복기 아동 돌봄 | 시간제 동일 | 소견서 제출 필요 |
정부 지원금 기준 (2025년)
아래는 시간제 돌봄 기준 시간당 요금 및 정부 지원 비율입니다.
가구 유형 | 중위소득 기준 | 정부 지원 비율 | 본인 부담금 (시간당) |
---|---|---|---|
A형 | 중위소득 100% 이하 | 85% | 1,800원 |
B형 | 100~140% | 75% | 3,000원 |
C형 | 140~180% | 50% | 6,000원 |
무지원 | 초과 | 0% | 12,000원 |
※ 영아종일제 및 질병아동 유형은 단가·지원율 상이. 지자체 별도 지원 가능
신청 방법
- 1단계: 아이돌봄 홈페이지 (www.idolbom.go.kr) 회원가입
- 2단계: 서비스 유형 선택 후 신청서 작성
- 3단계: 정부 지원 대상자는 소득 증빙서류 제출
- 4단계: 돌보미 매칭 및 첫 이용일 예약
모바일 앱 또는 전화(1577-2514)로도 간편 신청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주말이나 야간에도 이용할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단, 야간·주말은 시간당 요금이 가산됩니다. - Q. 돌보미는 어떤 기준으로 선발되나요?
→ 보건복지부 인증 교육을 이수한 전문 인력만 활동 가능 - Q. 서비스 이용 중 돌보미를 교체할 수 있나요?
→ 네. 만족도 평가 또는 사유 접수 후 교체 가능합니다.